전체 글499 재해사망 보험금 지급 거절 건 (사망의 원인이 폐렴) 다시 진행 재해사망 보험금은 생명보험사의 대표적인 사망보험금입니다. 그 지급 요건을 간략히 정의해보면 첫번째로 재해분류표에서 정한 재해사고가 발생해야 하며 두번째로 재해사고를 직접적인 원인으로 보험 대상자가 사망해야 하며 세번째로 보험 약관, 재해 분류표 등에서 정한 면책 사유에 해당하지 않아야 합니다. 면책사유는 보험금 지급을 하지 않는 것으로 정한 사유이며 약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재해사망 청구 건은 매우 다양한 청구 건이 있어왔고 재해사고의 해당 여부의 판단, 약관 규정의 해석, 병원에서 진단된 내용, 상세한 검사 결과 등 여러 이유로 재해사망 보험금 지급이 어렵다는 주장을 한 분쟁 사례들이 있었습니다. 소개해드릴 사례는 재해사망 보험금 청구 건의 지급을 거절한 건으로 사망의 원인이 폐렴이라는 주된 이유와 .. 2023. 5. 31. D372 코드와 암진단비 보험금 D372 코드는 암이 아닙니다. 소장에서 발생한 종양이 경계성 등급으로 판정되었다면 진단서에 부여되는 코드로 암진단비 보험금의 경우 의학적으로 악성암 진단을 받아야 하며 보상 실무 절차는 병리검사 결과와 판독 내용을 반드시 확인하기에 병리적으로도 암으로 볼 수 있는 내용으로 진단이 확정되어야 합니다. D372 코드는 소장에서 발견된 종양의 성질이나 종류에 따라 부여되는데 같은 코드라고 하여 모두 같은 종양으로 진단을 받은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카시노이드 종양의 경우에도 D372 코드가 기재될 수 있으며 아래 소개할 기질종양의 경우에도 D372 코드가 기재될 수 있습니다. 암진단비 보험금 보상의 검토는 진단내용과 더불어 상세한 검사 결과, 해석, 보험 가입 내용 등 여러 내용을 종합해서 판단해야 합니.. 2023. 5. 25. 흉선종 진단과 암보험금 처리 관련 분쟁 흉선종 진단과 암 보험금 처리 관련 분쟁 흉선종 진단 시 악성암으로 판정받는 경우도 있지만 D코드로 분류되는 경계성 종양이나 양성종양 진단 시 약관에서 분류하는 암의 분류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보험금을 처리받지 못하게 됩니다. 그러나 D코드로 분류되는 흉선종의 경우에도 관련 증명의 여부에 따라서 암으로 인정받아 보험금을 처리받을 가능성이 있는 사례가 있습니다. 반대로 흉선암 진단을 받아 C37 코드를 부여받았음에도 보험금은 경계성종양 등으로 삭감하거나 지급을 거절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습니다. 흉선종 thymoma 진단은 수술 후 조직검사를 통하여 진단이 확정되게 되는데 단순하게 진단서만을 보고 보험금을 심사하지는 않으며 보험약관에서 정하고 있는 병리의사의 현미경 검사를 기초로 한 소견이 확인되는 조직.. 2020. 11. 2. carcinoid tumor 진단 시 암보험금 지급 검토 필요 carcinoid tumor 진단 시에는 암보험금 지급 관련 검토가 필요합니다. carcinoid tumor는 유암종이라고도 부르며 신경내분비종양 (neuroendocrine tumor)로 부르기도 합니다. 주로 소화기관에서 발견되며 위, 소장, 직장, 췌장 등에서 발견되는데 내시경적 시술만으로 제거하는 경우도 있고 수술 등의 방법으로 종양제거 후 조직병리검사를 통해 최종진단을 하게 됩니다. 이 종양은 악성으로 판정되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D코드에 해당하는 경계성종양이나 양성종양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흔한데 질병분류기호가 악성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보험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종양입니다. 양성으로 진단되는 경우 암보험금에서의 암진단비, 암수술비 등의 대상이 되지 않으며 경계성으로 진단되는 경우에도 가입금액의.. 2020. 10. 29. 이전 1 2 3 4 5 6 7 8 ··· 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