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99 C34.99 코드가 부여된 폐암 진단을 제자리암으로 삭감한 이유는? C34.99 코드? C34.99 코드는 상세불명의 폐의 악성 신생물 진단 시 부여되는 코드로 C34.9, C349, C3499 등으로도 사용됩니다. 우리나라의 악성암 분류표에 들어가는 암코드임이 분명하며 보험에서도 C34 코드 부여 시 보험금을 작게 지급한다는 규정이 없는 이상 암으로 분류되어 있는 코드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상 분쟁이 발생하고 있는데 모든 폐암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은 아니며 병리의사가 작성하는 조직검사 결과에서 C34.99 코드로 볼 수 없는 소견이 나오거나 Tis, adenocarcinoma in situ 등 제자리암으로 진단 가능한 검사 결과가 있을 때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관련 분쟁을 대비하지 못하는 이유는? 의사의 진단이 암으로 내려졌는데 암이 아닐것이라고 생각하는 사.. 2023. 12. 3. D37.5 코드 진단 시 보험금은? D37.5 코드? D37.5 코드는 직장에서 발견된 종양이 행동양식 미상으로 판정되었을 때 부여됩니다. 직장암은 C20 코드가 부여되며 직장의 제자리암종은 D01.2 코드가 부여되고 직장의 양성 신생물은 D12.8 코드가 진단서에 기재됩니다. 이처럼 발견된 종양이 어떤 성질을 가졌는지에 따라 병명, 질병분류기호 등이 차이가 있으며 보험금의 지급도 달라지게 됩니다. D37.5 진단 시 보험금은? D37.5 코드는 보험에서 경계성종양 분류 범위에 들어갑니다. D37~D48 사이의 코드는 경계성종양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의 질병분류기준을 가져와 사용하는 것이라서 의학적 기준과 차이가 없습니다. 보험금의 지급 금액이나 비율은 계약마다 차이가 있는데 통상 암으로 받을 수 있는 금액의 10~20% 정도의.. 2023. 10. 3. 보험금 현장심사 안내를 받았다면? 보험금 청구 후 현장심사 안내 보험금을 청구하고 난 후 보험회사로부터 현장심사 안내를 받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대형 보험사 기준 하루에도 엄청난 보험금 청구 건이 발생하는데 청구 건 중 일부 사례들은 보험회사가 추가적인 확인을 통해 보험금의 지급 적정성이나 해지, 무효 등의 내용을 따져보게 됩니다. 일부 사례에서만 진행되는데 아무런 이유 없이 심심해서 진행하는 것이 아닌 절차진행에 필요한 비용과 인력 등을 지출하여 진행하는 것으로 현장심사 진행 건은 이유가 있습니다. 현장심사라는 용어 이외에도 고객의 거부감 등이 있어 다양한 용어를 사용하는데 과거에는 조사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였으며 현재에도 보험사 내부에서는 조사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합니다. 현장심사는 청구자가 제출한 서류만으로 보험금 처리가 되지 않.. 2023. 7. 18. C37 코드로 판정된 흉선종 청구 건을 암으로 처리하지 않은 사례 흉선종 진단 시 부여되는 질병분류코드 흉선종 진단은 다양한 코드가 부여될 수 있는데 양성이나 경계성으로 분류되었을 때에는 D15, D38.4 또는 D384 코드가 부여되며 악성신생물 판정 시 C37 코드가 진단서에 기재됩니다. 그런데 흉선종 진단을 암으로 보지 않는 의학적인 견해들이 있어 보험회사는 해당 의견을 근거로 암으로 보험금 처리를 하지 않은 사례들이 있습니다. C37 코드에 관한 보험회사의 판단 C37 코드는 흉선의 악성 신생물 진단 시 부여되는 코드로 보험회사가 인정하는 암은 흉선암에 해당합니다. 즉, 병리검사 결과에서 carcinoma 소견이 나올 경우 암으로 인정하며 thymoma 소견이 나온 흉선종의 경우 C37 코드범위에 해당하지 않으며 의료자문 등을 거쳐 D15, D38.4 등의 진단.. 2023. 6. 28. 이전 1 2 3 4 5 6 ··· 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