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99

급성 심근경색증 의증으로 인한 진단비 보험금 문제 건 급성 심근경색증 의증 급성 심근경색증은 심장의 관상동맥이 막혀 심근의 괴사가 일어나는 질환으로 발병 후 처치를 받지 못하는 경우 사망에 이르게 될 수 있는 무서운 질환입니다. 실제로도 발병 후 현장에서 사망하거나 병원에 이송되었으나 심폐소생술 후 깨어나지 못하고 급성 심근경색증 의증, 의심 등의 사인으로 사망한 사례들이 있습니다. 보험에서도 급성 심근경색증 진단 확정 시 약정한 금액을 지급하는 진단비가 있지만 의증, 추정 등으로 판정되거나 확정 진단을 내리기 위한 정밀검사 등을 받지 못한 경우 보험금 지급이 거절되고 있습니다.  심근경색증 보험금 청구 후 지급 거절된 사례  망인의 유족들은 보험회사에 급성 심근경색증 진단비 보험금을 청구했으나 확정 진단을 받지 못했다는 이유로 보험금 처리가 거절되었습니다.. 2024. 10. 16.
상세불명의 뇌경색증 (I63.9) 뇌졸중 진단비 처리를 하지 않은 이유? 상세불명의 뇌경색증 병원에서 CT, MRA, MRI 등 정밀검사를 받은 후 뇌경색증 소견이 나오게 되면 I63으로 시작하는 질병분류기호를 부여하게 됩니다. 상세불명의 뇌경색증 진단은 뇌경색 진단 시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병명으로 발생부위나 형태를 구분하지 않은 상태의 범용적인 진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뇌졸중 진단비 보험에서도 뇌질환을 보상하는 여러 보험이 있는데 대표적인 형태가 바로 뇌졸중 진단비 특약입니다. 주보험으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특약의 형태이며 아래와 같은 질환으로 약관에서 정한 기준에 합당한 진단이 확정되었을 때 보험금을 지급합니다. 뇌졸중 보상 범위 및 질병분류기호 뇌출혈 (I60~I62) 뇌경색증 (I63) 대뇌의 혈관 폐색 및 협착 (I65~I66) 약관에서 정한.. 2024. 4. 12.
사인 미상 판정된 사례의 질병사망 보험금 처리 건 사망보험금 사망보험금은 여러 종류가 있으며 피보험자의 사망 자체를 보상하는 보험도 있으나 대부분은 어떠한 원인으로 사망했을 때 지급하는 방식의 사망보험금이 대표적인 형태입니다. 예를 들어 재해사망의 경우 재해분류표에 정하고 있는 재해사고가 발생해야 하고, 우발적인 외래의 재해사고를 직접 원인으로 피보험자가 사망해야 하며. 보통약관에서 정한 면책 사유, 재해로 보지 않는 사유, 특약에서 정한 부지급 사유 등에 해당되지 않아야 합니다. 종류별로 여러 요건들을 충족해야 지급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지급 대상인지 여부는 청구자가 제출한 서류 이외에 다양한 기록과 병원차트 등 여러 내용을 종합하여 판단하고 있습니다. 금액이 다른 보험금에 비하여 높아 까다롭게 심사하는 보험금 중 하나입니다. 명확한 사망 원인, 사고.. 2024. 3. 13.
급성 경막하출혈 (S06.5) 진단으로 인한 후유장해 보험금 처리 건 급성 경막하출혈? 뇌출혈은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가장 흔한 것이 내 뇌출혈, 지주막하(거미막하) 출혈, 경막하출혈입니다. 경막하출혈은 뇌를 둘러싸고 있는 경막 아래에 출혈이 발생한 것으로 주로 외상으로 발생하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닙니다. 출혈 발생 후 호전되는 경우도 있으나 뇌라는 부위의 특성상 심각한 후유증을 남기기도 합니다. 뇌출혈은 외상만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닌 신체 내부적인 요인, 질병 등에 의해서도 발생합니다. 외상으로 발생할 경우 S06.5 또는 S065 코드가 부여되지만 비외상성인 경우 I62.0 또는 I620 코드가 부여됩니다. 후유장해 보험금? 보험금도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피보험자가 영구적인 신체, 정신의 훼손상태가 되었을 경우 후유장해 보험금 지급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다.. 2024. 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