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진단비

난소경계성종양 진단은 암진단비 수령 가능할까?

by 손해사정 한결 2017. 10. 13.

 

 

종양은 양성과 악성 , 경계성 , 제자리신생물 등으로 행동양식을 구분하고 있습니다.


양성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간단한 절제술 만으로 치료가 종결되고 있지만
제자리신생물 , 악성신생물 , 경계성종양 등과 같은 종양들은 제거 후 추적관찰은 물론이며
치료과정이 복잡하고 항암치료까지 받아야 하는 상황도 발생합니다.

 

보험에서도 어떤 종류의 종양으로 진단을 받았는지에 따라서 받는 보험금에 차이가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암진단의 경우 가입금액 전액을 받지만

상피내암 또는 제자리암 , 경계성 종양과 같은 경우에는 암진단비 가입금액의 10% 내지는 20% 정도만 지급되며

양성종양인 경우 별도의 진단비 지급은 없습니다.

 

 

 

 

 

 

보험에서의 경계성 종양은
행동양식 미상 또는 불명의 신생물이기 때문에 악성종양과는 다르게 보고 있으며
지급률에서도 암에 비해 적은 지급비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난소에서 발생한 경계성 종양의 경우
조직학적 특성으로 악성에 포함되고 있지만 보험금은 암보상 대상이 될 수 있는 사례들이 있습니다.

보험계약 상 암진단비를 받는 코드들은 C코드 입니다.
이 코드는 진단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난소경계성종양 질병코드는 여성생식기관의 행동양식 미상의 신생물인 D39 범위에 속하며

D39.1 코드로 분류됩니다. (오른쪽 난소 D39.10 / 왼쪽 난소 D39.11)

 

D39의 경우 보험계약에서의 경계성 종양 (D37 ~ D48) 사이에 포함되고 있어
암진단비가 아닌 소액의 보험금만 지급되도록 규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난소경계성 종양의 경우 사례에 따라서는 암진단비 수령이 가능한 질환입니다.

 

보험증권 , 진단서 , 조직검사결과지 서류를 준비하시어

암진단비 지급 가능성을 손해사정사와 함께 검토하시고 진단비 지급을 받으시길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