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정보35

교통사고 척추의 손상기전 안녕하세요 교통사고 척추의 손상기전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교통사고로 인한 손상이 가장 많은 부위는 경추의 과신전과 과굴곡에 의한 경우로 조직이 정상적인 한계를 넘어 갑작스럽게 늘어지는 경우를 말합니다. 경추의 손상은 전면추돌과 후면추돌에 따라서 다릅니다. 전면추돌에 의한 경우는 경추가 앞으로 굽어졌다가 뒤로 굽어지는 현상이 발생됩니다. 후면추돌에 의한 경우는 경추가 뒤로 굽어졌다가 앞으로 다시 굽어지는 기전으로 경추의 손상이 발생되게 됩니다. 교통사고로 인하여 요추의 손상도 일어나게 되는데 요추부의 직접적인 외상을 받는 경우에 발생되고 있습니다. 척추의 골절로 인한 손상은 경추의 방출성 골절이나 치상돌기 골절 등이 일어나게 되며 요추나 흉추의 경우에도 굴곡손상이나 극돌기 골절등이 일어나는 현상을 보입.. 2014. 6. 11.
외상성 경막하 혈종 특징과 급성 만성 구별 안녕하세요 경막하 혈종에 대하여 살펴보고 급성과 만성에 대하여 비교해 보겠습니다. 경막은 뇌에 내부에 위치한 막으로 경막과 지주막 사이에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 경막하 혈종이 발생됩니다.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는 대부분 사고로 인하여 발생이 되고 외부적인 요인에 의한 손상 등이 일반적인 발병의 내용입니다. 또한 뇌좌상이나 뇌간 손상등의 합병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급성과 만성 경막하 혈종의 특징을 살펴보면 급성의 경우에는 외상 후 3일 이내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만성의 경우에는 두부 외상 후 3주 이상 경과되어 두통, 반신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와 증상악화로 정밀검사 등을 통하여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급성 경막하 혈종은 두통이나 , 동공 , 안면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CT.. 2014. 6. 10.
급성과 만성 아급성이란? 안녕하세요 급성과 만성 아급성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병원에서 진단서를 발급받거나 보험회사에 보험금을 청구하는 등 여러가지 상황에서 급성 만성을 구분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급성과 만성과 아급성은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발병시기와 경과를 나타내는 표현에서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는 경우가 있는데 급성이란 급격하게 증상이 발생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만성은 증상이 서서히 진행되는 것을 말하며 만성질환의 의미는 최초의 자각증상이 반드시 명확하지 않으면서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진행되거나 하는 등 서서히 진행되는 경우에 만성이라고 말합니다. 아급성은 급성과 만성의 중간을 말하는 것 입니다. 보험에서 바라보는 관점은 보험가입 시기가 얼마되지 않았는데 만성질환을 청구하게 되면 보험계약 이전의 발병된 것은.. 2014. 5. 5.
의무기록지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오늘은 의무기록지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의무기록지는 병원에 있는 서류로서 환자의 진료기록과 검사 , 수술기록 , 의사의처방 , 간호일지 등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합니다. 환자가 입원 또는 통원하여 치료를 받는 과정에서 의사의 오더 , 시행한 검사 , 처방내용 , 수술기록 등 여러가지 의료에 관한 내용이 기록되어있는 문서입니다. 의무기록지의 종류는 다양합니다. 여러종류의 의무기록이 있으며 사용되는 용도도 다양합니다. 환자의 의무기록은 진료목적 이외에도 보험금청구 , 장애연금 청구 , 법정소송자료 등 민감한 사항에도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의무기록지는 환자의 동의가 없다면 발급받을 수 없습니다. 환자 본인이 내원하여 발급을 받거나 대리인의 경우에는 환자 본인에게 동의 위임서명을 받.. 2014. 3. 11.